생활코딩에서 GIT2 - SourceTree 버전관리, GIT3 - Sourcetree 백업, GIT3 - SourceTree Branch & 충돌, GIT4 - SourceTree 협업 강의를 듣고 공부했다. 이해가 안 되어서 두 번 들은 부분도 있었다. Git에 대해 GUI로는 어느 정도 파악이 된 거 같다. 내일은 이제 CLI를 공부할 차례이다. 반은 걱정되고 반은 기대된다. CLI를 제대로 배워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SourceTree 이외에도 오늘 학교 도서관에서 모던 웹을 위한 HTML5 + CSS3 바이블이라는 책을 빌려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8강까지 강의를 들은 상태이다. 또 Github에 올려서 1일 커밋을 달성할 수 있지만 왜 티스토리에 글을 쓰는 가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 해보..
오늘은 TortoiseGit 라는 툴을 사용해봤다. 생활코딩에서 GIT2 - TortoiseGit - Version control, GIT3 - TortoiseGIT 백업, GIT3 - TortoiseGit Branch & 충돌, GIT4 - TortoiseGit 협업 수업을 들었다. 한국 사람 중에서 쓰는 사람은 몇 없는 듯 보였다. 대부분 GUI를 사용하지 않고 CLI를 사용하는 것인가 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SourceTree 라는 툴도 배워볼 예정이다. 비가 와서 도서관에서 공부하지 않고 집에서 공부했다. 그래서 더 집중이 안 되었던 것 같다. 내일은 도서관에 갈 수 있으면 좋겠다.
TIL 작성 github을 이용한 정적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서 github 공부를 했다. 생활코딩에서 Git1 수업과 POSIX CLI1 수업을 들었다. 정적 블로그를 만들고 싶은 이유는 나만의 블로그를 만들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티스토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나만의 주소를 가진 블로그 그렇기에 공부를 했다. 우분투 리눅스, C, C++, 프론트엔드, 백엔드 등 공부할 것이 많지만 시작은 github라고 생각한다. TIL을 적고 싶은 마음이 매우 컸었지만 티스토리에 적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았었다. 그래도 뭐라도 적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티스토리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매일 꾸준하게 적을 예정이다. 조금이라도 공부한 내용을 적을 예정이다.